콘텐츠로 건너뛰기

인버터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인버터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관련 정보를 찾으신다면, 본문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버터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

장마가 끝나고 다시 폭염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며칠째 계속되는 열대야로 인해 밤낮으로 에어컨을 가동하지 않으면 버티기 힘든 날씨인데요. 에어컨은 소비전력이 높은 가전이다 보니, 에어컨을 가동하면서도 한편으론 전기요금 폭탄을 맞지 않을까 염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전기요금은 누진세가 적용되다 보니 많이 쓰면 쓸수록 요금이 급격하게 오르기 때문인데요.

이런 이유로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온라인에서 관련 정보를 찾아보기도 합니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것처럼 대표적인 에어컨 절약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에어컨은 정속형 또는 인버터 에어컨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정속형 에어컨(대부분 2011년 이전 모델)은 실외기가 설정 온도까지 계속 풀가동되기 때문에 가동 후 시원해지면 껐다가 온도가 올라가면 다시 켜는 것이 전기요금이 적게 나옵니다. 그리고 인버터 에어컨(대부분 2011년 이후 모델)은 설정 온도에 근접하면 실외기가 가동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계속 켜두는 것이 보다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인데요.

최근에는 가정에서 대부분 인버터 에어컨을 사용하다 보니, 한번 에어컨을 켜면 끄지 않고 계속 켜두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해당 방법이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인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주변 또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보면 인버터 에어컨임에도 전기요금 폭탄을 맞았다는 분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왜일까요?

그 이유는 가장 중요한 우리집 에어컨의 ‘냉방능력’을 간과했기 때문입니다. 냉방능력은 해당 에어컨이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말하는데요. 주로 ‘평형(또는 모델명)’이나 ‘정격능력(W)’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에어컨 옆 면에 붙어있는 스티커를 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에어컨-전기요금-스티커

이미지에서 모델명 부분을 보시면 AF15로 시작하는데요. 이는 15평형 에어컨이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모델명에서 확인이 어렵다면, 정격능력을 보셔도 됩니다. 상기 에어컨의 경우 정격능력이 6000W인데요. 일반적으로 평당 냉방(정격)능력을 400W로 계산하니 6000/400으로 나누면 역시 15평형의 냉방능력을 가진 에어컨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인버터 에어컨의 냉방능력을 간과하면 안되는 이유는 바로 ‘에어컨 설정 온도’에 있습니다. 인버터 에어컨이 정속형 에어컨에 비해 전기요금이 적게 나오는 이유는 설정 온도에 근접하면 자동으로 실외기 출력을 조절하면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인데요. 즉 실외기가 높은 출력으로 얼마나 오랜시간 가동되는지에 따라 에어컨 전기요금이 달라집니다. 당연히 실외기가 낮은 출력 또는 적게 돌수록 소비전력이 낮아지고 전기요금도 적게 나오게 됩니다.

예를 들어 40-50평대 아파트에 15평형 에어컨(인버터)을 사용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온도를 24도로 설정하고 인버터 에어컨이라 전기요금 절약을 위해 계속 켜두고 생활했다면 어떨까요? 에어컨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유는 집 평형대가 에어컨 냉방능력을 한참 벗어났기 때문인데요. 폭염이 내리쬐는 한 낮의 경우 실내 온도는 안 떨어지고 실외기는 인버터임에도 설정 온도에 근접하기 위해 계속 풀가동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소비전력이 급증하여 에어컨 전기요금 폭탄을 맞게 되는 것입니다.

에어컨 전기요금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우리집 에어컨이 인버터인지 또는 정속형인지 확인하고 그에 맞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먼저 에어컨의 냉방능력을 확인해 보시고 사용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우리집 에어컨이 평형대에 비해 현저히 냉방능력이 부족하다면, 에어컨을 평형대에 맞게 교체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러나 교체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설정 온도를 올리셔야 하는데요.

우리 집만의 적정 온도를 찾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법은 뜨거운 한 낮을 기준으로 에어컨 설정 온도를 최저로 해두고 에어컨을 가동하면 처음에는 빠르게 온도가 떨어지다가 일정 온도부터는 더디게 떨어지거나 또는 더 이상 떨어지지 않는 온도가 있을 텐데요. 해당 온도가 우리 집의 적정 온도라 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에어컨 설정 온도를 최저 온도인 18도로 해두고 에어컨을 가동하면 26도까지는 빠르게 떨어지다가 25도로 내려가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또는 26도에서 더 이상 온도가 안 떨어진다면, 우리 집 에어컨 적정 온도는 26도입니다. 이 때 인버터 에어컨일 경우 설정 온도를 26도로 해두면 계속 가동하셔도 요금 폭탄을 맞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정속형 에어컨일 경우도 마찬가지로 설정 온도를 26도로 하시고, 해당 온도에 도달하면 잠시 껐다가 온도가 오르면 다시 가동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해가 지고 난 다음에는 설정 온도를 1-2도 낮추셔도 소비전력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니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집에 적절한 에어컨 선택 요령을 말씀드리면, 간단하게 평형대 나누기 2 하시면 됩니다. 만약 35평형 아파트라면 17 또는 18평형 에어컨을 구매하시면 적당한데요. 다만 서향 등의 주변 환경으로 인해 해가 많이 들어오는 집이라면 조금 높은 평형대의 에어컨을 구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인버터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자세히 설명하려다 보니 글이 좀 길어졌는데요. 에어컨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은 에어컨 유형(인버터/정속형)에 맞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 집 에어컨의 냉방능력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 기억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그럼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Other Contents.

삼성 LG 캐리어 에어컨 에러코드 확인, 깔끔정리
에어컨 온도 안 내려가는 4가지 이유, 해결 방법
매년 에어컨 가스 충전한다면, 재설치를 고려해 보세요.
2025 에너지바우처 대상, 기간, 신청방법 깔끔정리
한전 에너지 캐시백 대상, 신청방법, 지급기준 깔끔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