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깨진 유리 버리는 법, 분리수거 여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관련 정보를 찾으신다면, 본문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깨진 유리 버리는 법
얼마 전, 오랜 기간 사용하던 책상의 상판 유리가 어처구니 없는 실수로 깨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다친 사람은 없기에 다행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막상 깨진 책상 유리를 보고 있자니 ‘이걸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라는 고민이 시작되었는데요. 일반적으로 파손되지 않은 유리컵, 유리병 등은 간편하게 재활용 분리수거장에 배출하면 되지만, 책상 상판 유리는 부피도 큰 데다가 이미 파손된 상태라 재활용 배출은 아니라고 생각해 관련 정보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깨진 유리는 재활용으로 배출하면 안되고, 깨진 유리의 ‘부피(양)’에 따라 그 처리(배출)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계실까 하여 아래에서 ‘깨진 유리 버리는 법’을 공유해 보려고 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 이미지를 먼저 보시겠습니다. 해당 이미지는 온라인 이곳저곳에서 관련 정보를 찾다가 ‘깨진 유리 배출방법’에 대한 어느 주민센터 답변을 캡쳐한 것인데요.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유리컵(잔)이나 유리병 등의 비교적 부피가 작은 경우에는 작업하시는 분들이 다치지 않게 신문지 또는 박스 등으로 깨진 유리를 잘 감싸서 일반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깨진 유리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불연성 쓰레기 봉투(특수규격마대)‘에 담아 배출하셔야 하는데요. 불연성 쓰레기 봉투는 비닐 재질이 아닌, 옛날 쌀푸대 느낌의 탄탄한 재질로 되어 있고 가격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10L 기준 ‘1,000원 미만’으로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책상 유리’처럼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불연성 마대에 담을 수가 없기 때문에 ‘대형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해서 배출하셔야 하는데요. 대형 폐기물 스티커는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구매하셔도 되고, 방문이 번거롭다면 본인이 거주하는 ‘시/군/구청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구매 후, 출력하여 부착하셔도 되겠습니다. 또한 스티커 비용은 지역마다 상이하지만, 아래와 같이 보통 ‘2,000원 내외’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깨진 유리 양이 적을 경우 : 신문 등으로 잘 싸서 ‘일반 종량제 봉투’로 배출
- 깨진 유리 양이 많은 경우 : ‘불연성 쓰레기 봉투(마대)’로 배출
- 부피가 큰 유리일 경우 : ‘대형 폐기물 스티커’ 부착하여 배출
마치며
이상으로 ‘깨진 유리 버리는 법, 분리수거 여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본문 내용과 같이 ‘깨진 유리 양’에 따라 배출 방법을 달리 해야 한다는 점 기억해 두시면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책상 유리’와 같이 부피가 큰 유리일지라도 자잘하게 완전 파손된 경우에는 ‘불연성 마대’에 담아서 배출해야 하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Other Contents.
- 우산 버리는 법, FRP 살대는 분리수거하지 마세요.
- 화분 흙 버리기, 종량제 봉투? 공용 화단에?
- 이불 버리기, 일반 종량제 봉투? 헌옷 수거함?
- 폐토너 버리기 3가지 방법, 이렇게 처리하세요
- 멀티탭 버리기 2가지 방법, 이렇게 배출하세요